본문 바로가기

정책자금뉴스/기관별보도자료

[창업데일리]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배출량 줄이기 위한 방법은?

[창업데일리]

2030년 온실가스축목표,배출량 줄이기 위한 방법은?



정부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공식안을 내놨다. 환경부 등 온실가스 관계부처는 11일,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을 산정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203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 시행중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고 정책을 강화하며, 비용효과적인 저감기술을 반영하는 것이다.


더불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건물과 공장 등의 에너지 관리시스템도입, 자동차 평균연비제도 등 재정지원과 비용부담이 수반되는 감축수단이 포함될 전망이다.



정부는 공청회 등의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안을 확정한 뒤, 이달 말 유엔에 정부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온실가스 배출량 줄이기가 제대로 시행될 것인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 많이 본 경제 / 경영뉴스

오늘의 뉴스

  
소득공제 가능여부, 정부 시행령으로 지원하는 절세방법은? 중장년 일자리 근로자 인건비, 중견인력 지원금 한도는?
회사운영자금 중소기업공제사업기금 정책자금지원제도는? 제조물 책임법 중소기업중앙회 PL제도에 가입하려면?
개인채무자회생규칙, 생활고 비관 극복하는 채무조정 지원 성실신고확인자 선임신고서 제출, 가산세 부과 상관있어
소셜데이팅 서비스 피해 원치않는 연락 개인정보 유출? 소비자 6개월째 0% 물가 상승률,디플레이션이 기회?
소득세법 개별 소비세법 시행령 개정, 원천징수세액 근로자

해외금융계좌신고 제도와 의무자 신고방법은?



의류제품 제조물책임 사례,PL보험 리스크 관리


의류제품 제조물책임 사례로 옷감에 의한 피부병 발병, 바늘이나 핀으로 인한 상해 등으로 제조물책임을 지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의류직조기술과 염색 처리 기술이 진보하고 있지만 의류제품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손해가 발생하여 제조업체나 수입업체에서 제조물책임에 의한 손해배상 건이 발생하고 있다.


제조물책임이란 제품의 결함으로 소비자 또는 제삼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손해를 배상하는 책임을 말하며 제조물책임법상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는 10년에 걸쳐 길게 적용되고 있다.



제조물책임에 대한 책임의 주체는 제조업체는 물론 사안에 따라 수입업체나 판매업자도 책임의 주체가 되거나 이들이 연대하여 책임을 질 수도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사업장에서 제조물책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PL보험료를 무료로 산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중 보험사에 개별적으로 가입하는 것보다 저렴하게 PL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섬유제품 제조물책임은 물론 가전제품, 어린이용품, 화학, 식품, 애견물품 등 다양한 업종의 사업장에서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PL보험료 무료산출을 통해 제조물책임 리스크 관리에 대한 전략을 짜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공제접수처T.1566-7176으로 문의하면 PL보험료 무료산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 [첨부파일] 2015[사업자 소득공제제도 안내서]

 ​[첨부파일] PL제조물 책임보험제도 산출서 무료신청


 경영경제/주요뉴스

개인회생 준비서류, 변제계획안 작성에서 채무조정까지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소득공제로 절세 전략은?

PL사고, 제조물책임 리스크 대비 PL보험료 무료 산출 받으려면?

그림자 금융 1500조원대, 예금자보호 약해 규제 필요성 대두

고용지원금, 사업장에 정부인건비 장년인턴제로 지원해



[창업데일리 / 소현 기자 soft_blue@naver.com]

 

 

<저작권자 ⓒ 창업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소득세 환급일정

환급금 늘리려면

자금난, 비상책

중소기업공제기금

섬유제품 제조물책임

PL보험 방안은?

가계채무 위기

개인횐생 이용방법

여름철 장염 주의

식중독 예방하려면?



해외금융계좌신고

10억 이상은 신고대상

메신저 증후군

카톡 업무지시 안돼

전자계산서 발급의무

7월부터 시행

종합소득세 수정신고

경정청구 끝나면?

메르스 오해와진실

예방 생활수칙